뭘 해야하나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뭘 해야하나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04)
    • centos7 (7)
    • 프로그래밍 (68)
      • linux (29)
    • network (5)
    • mysql (44)
    • php (45)
    • css (4)
    • script (13)
    • nodejs (2)
홈태그방명록
  • centos7 7
  • 프로그래밍 68
    • linux 29
  • network 5
  • mysql 44
  • php 45
  • css 4
  • script 13
  • nodejs 2

검색 레이어

뭘 해야하나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mysql] ERROR 1045 (28000):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에러

    2021.06.14 by 2hansoul

  • VirtualBox에 Linux CentOS 7 설치 (+외부 IP 설정까지)

    2021.06.14 by 2hansoul

  • [Liunx] Yum install bzip2 / linux 컴파일

    2021.06.14 by 2hansoul

  • [Liunx] yum 패키지,yum 삭제하기,ServerName

    2021.06.14 by 2hansoul

  • [Liunx] php.ini이 없을 때 확인 방법/httpd.conf

    2021.06.14 by 2hansoul

  • CentOS 7 apache 컴파일 설치 configure: error: in `/usr/local/src/apr-1.7.0':

    2021.06.14 by 2hansoul

  • [Liunx] php 에러 configure 할 때 에러

    2021.06.14 by 2hansoul

  • [Liunx] SSH,chown(소유권 변경) vs chmod(파일권한 변경)

    2021.06.14 by 2hansoul

[mysql] ERROR 1045 (28000):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에러

mysql의 root 비밀번호를 변경할 때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1234') where user='root'; 명령을 입력했는데 ERROR 1054 (42S22): Unknown column 'password' in 'field list' 오류가 발생했다면 user table에 password 필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password 대신 authentication_string 필드가 존재할 것이므로 update user set authentication_string=password('1234') where user='root'; 을 이용하면 된다. mysql 접속 $ mysql -u root -p Enter password: mysql database 선..

mysql 2021. 6. 14. 20:54

VirtualBox에 Linux CentOS 7 설치 (+외부 IP 설정까지)

- 사전준비 1. VitualBox 설치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_Old_Builds_5_2 2. CentOS 7 iso 파일 다운로드 ※ CentOS iso7 파일 다운로드 https://www.centos.org/download/ Download As you download and use CentOS Linux, the CentOS Project invites you to be a part of the community as a contributor. There are many ways to contribute to the project, from documentation, QA, and testing to coding changes for SIGs, ..

centos7 2021. 6. 14. 20:49

[Liunx] Yum install bzip2 / linux 컴파일

수동 파티션 설정 /boot:부팅에 관련된 정보 저장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 Swap : 메모리가 부족할 떄 추가 작업을 위한 공간(가상메모리) wget 으로 파일 설치시에 wget명령어를 찾을수 없다면 wget을 설치하면 된다. yum install wget ​ ​ ​ - mv 사용방법 mv [이동할 파일명] [이동할 위치] Ex) mv alaiakg lib ​ 방법 : 리눅스 패키지 설치 시 configure, make, make install 명령의 역할 리눅스 패키지 설치 시 사용하는 configure, make, make install 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해서 찾아봄 일반적으로 소스 패키지 설치는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의 3단계로 이루어짐 conf..

프로그래밍/linux 2021. 6. 14. 20:38

[Liunx] yum 패키지,yum 삭제하기,ServerName

자신의 컴에 설치된 yum 패키지를 찾으시려면.. yum list installed |grep php

프로그래밍/linux 2021. 6. 14. 20:36

[Liunx] php.ini이 없을 때 확인 방법/httpd.conf

Httpd.conf 다른 2 개 인지 저장을 잘못해서 2개가 생성이 된건지 ​ Apache index.html [root@cp4 htdocs]# pwd /usr/local/apache2/htdocs ​ 리눅스에서 가상머신 활용하여 ip 할당받아서 작업하는 ​ Loadmodule php 있는지 확인 해야됌 Yum으로 설치 했을 시 php 설정 할게 있음 ​ /usr/local/apache2/bin/httpd -k start 아파치를 실행하기 위해 위에 말고 # systemctl start httpd # service httpd start # apachectl start 다른 것도 있던데 왜 안먹히는지 모르겠다 해석:yum 으로 설치하면 경로가 자동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위 상단 처럼 경로를 지정 해줄 필요가..

프로그래밍/linux 2021. 6. 14. 20:34

CentOS 7 apache 컴파일 설치 configure: error: in `/usr/local/src/apr-1.7.0':

[CentOS7] 컴파일 하여 아파치(Apache) 설치 ▶ 0. gcc 패키지 설치 yum -y install gcc-c++ yum -y install zlib-devel yum -y install openssl-devel yum -y install expat-devel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GCC 란? - GNU 컴파일러 모음(GNU Compiler Collection, 줄여서 GCC)는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컴파일러이다 ( 다음에서 각각의 설치할 패키지의 최신 버전 확인 가능 ) – apache : http://www.apache.org/dyn/closer.cgi – apr/apr-util : https://apr.apac..

centos7 2021. 6. 14. 20:32

[Liunx] php 에러 configure 할 때 에러

CentOS 64bit에서 libjpeg,와 libpng 에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못찾아 confiig 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configure: error: libjpeg.(a|so) not found. configure: error: libpng.(a|so) not found. whereis libjpeg 명령으로 해당 라이브러리 경로를 확인 후에 # ln -s /usr/lib64/libjpeg.so /usr/lib/ # ln -s /usr/lib64/libpng.so /usr/lib/ 심볼릭 링크(ln 단순히 원본파일을 가리키도록 리크만 시켜둔 것 windows:바로가기) 후에 config 옵션을 --with-jpeg-dir=/usr/lib , --with-png-dir=/usr/lib 로 하면..

프로그래밍/linux 2021. 6. 14. 20:21

[Liunx] SSH,chown(소유권 변경) vs chmod(파일권한 변경)

SSH란 Secure Shell Protocol,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대표적인 사용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전송 이 둘은 개발 공부를 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사용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데이터 전송의 예로는 원격 저장소인 깃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를 원격 저장소인 깃헙에 푸쉬할 때 여러분은 SSH를 활용해 파일을 전송하게 됩니다. ​ 원격 제어 다음으로는 원격 제어입니다. 웹 개발 공부를 하시는 분이시라면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보셨을 것입니다. 우리는 AWS의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

프로그래밍/linux 2021. 6. 14. 20:20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2 23 24 25 26
다음
TISTORY
뭘 해야하나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