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찾거나 로그 볼때 쓰는데 한번 쓸때 쓰고 또 시간이 지나면 안 쓰니까 자꾸만 까먹게 된다
다양한 조합이 많지만 평소 자주 쓰는것 위주로 정리 해봤다
기본적인 find 사용 파일이름으로 위치 찾기
find . -name 'test2.php'
제일 기본적으로 쓰이고 제일 자주 쓰기도 한다
파일 내부 문자열 검색
find . -type f -print | xargs grep -i "data_post" /dev/null
검색 타입은? 파일형식은f 문자열 | 표준입력 대소문자구분없이 검색
해당 문자열이 어느 파일에 있는지 모를때 많이 쓴다 대부분 함수찾거나 sql문 어디있는지 보려고 사용하고 있음
파일 개수 구하기 wc -l
ls -l | wc -l
해당 디렉토리에서 파일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이걸 응용 하면 ls -l | grep^d | wc -l grep 으로 디렉토리 개수만 구하는 것도 가능 하고 grep 'php' php 확장자만 개수를 구할수도 있다
cat,tail 로그 파일 확인 해보기
tail access_log
cat access_log
가장 기본적인 방법
이렇게만 하게 되면 로그에는 기본적으로 데이터가 엄청 많을탠데 데이터 확인 하기가 쉅지않다
cat,tail 로그 파일 확인 해보기 응용
tail -f access_log
//기본적으로 tail은 뒤에서10번째 까지 볼수 있고 -f를 붙이게 되면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할수 있다
cat access_log | grep '404'
cat 표준출력이고 grep를 활용해서 404있는것만 확인도 할수 있다
cat access_log | grep -v '404'
-v는 404를 제외하고 검색 할 수 있다
cat access_log | grep -v '404' | wc -l
wc -l 는 개수를 구한다 그러면 404를 제외한 404개수를 구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들어 가면 진짜 한도끝도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걸로만 작성 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예정 ㅎㅎ
Failed to restart network.service: Unit network.service not found. centos8 , redhat8 (0) | 2022.12.13 |
---|---|
[linux] 특정 클라이언트만 서비스 허용 하기hosts.allow allow (0) | 2022.10.17 |
[linux] 리눅스 ssh 연결하여 접속하기 (0) | 2022.10.13 |
[linux] history 날짜 시간 일자 출력 하기 (0) | 2022.08.22 |
Missing or invalid credentials. (0) | 2022.07.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