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stat -ntlp 로 자신에 ssh 확인 한다 기본포트는 22 사용한다
vi /etc/ssh/sshd_config
처음 포트는 22로 연결 되어있는데 그건 주석처리 하고 5777포트를 추가후 재시작한다
systemctl restart sshd
재시작 후 해당 에러가 발생 하면 시 진행
3-1 yum 설치 진행
yum install policycoreutils-python
3-2 ssh 포트 확인
semanage port -l | grep ssh
3-2 포트변경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포트번호
3-3 방화벽에 설정한 포트 추가(iptable사용시도 동일함)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포트번호/tcp
3-4 방하벽 재시작 후 다시 ssh 재시작
firewall-cmd --reload
ssh 접속서버ip -p5777
A서버에서 B서버ssh 접속 하려고 한다 위에서 A 서버 세팅은 완료되었고 B서버도 동일한 세팅이 되어야 진행가능하다
ssh 접속시 이런 오류발생 한다면 방화벽을 확인 해야 한다
ex) A->B접속시 접속오류발생하면 B서버에 방화벽을 확인해야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호스트이름
가상머신에서 진행 하다보니 호스트네임이 동일하여 불편해서 수정 후 재부팅 하면 적용된다
[Linux] 자주 쓰는 찾기 명령어 grep,find,ls,tail (0) | 2022.12.09 |
---|---|
[linux] 특정 클라이언트만 서비스 허용 하기hosts.allow allow (0) | 2022.10.17 |
[linux] history 날짜 시간 일자 출력 하기 (0) | 2022.08.22 |
Missing or invalid credentials. (0) | 2022.07.07 |
[linux] Centos7 GitLab 서버 설치 (0) | 2022.07.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