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linux
[Liunx] linux 기초
2hansoul
2021. 8. 10. 17:03
반응형
유닉스 종류
IBM | AIX |
HP | HP-UX |
ORACLE | Solaris |
APPLE | MAC OS X |
종류
Debian - UbuntuRedhat - CentOS
특징
높은 이식성, 확장성
안전성과 신뢰성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계층적 파일시스템
========================================================
CHAPTER 2. 리눅스 기본 환경
1. 컴퓨터의 주요 구성요소
1) 하드웨어
- RAM : 주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복사본이 RAM에 적재되고 RAM에서 실행된다.
- CPU : RAM으로부터 명령어를 받아와서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고 다시RAM으로 보내 는 역할.
- I/O : 사용자가 외부 장치로부터 컴퓨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ex) 키보드, 마우스
- 디스크 : 보조 기억장치, 파일 또는 디렉토리 및 모든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장치.
* 폰노이만 방식 (RAM, CPU, I/O)
2) 소프트웨어
- 시스템 SW : OS, 컴파일러
- 사용자 SW : 일반적 프로그램
리눅스 운영체제 구성요소
커널 (kernel) :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 파일시스템 관리, 장치 관리, CPU 제어, 메모리 제어, 프로세스 제어 등
쉘 (Shell) :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명령어를 커널이 알 수 있게 번역해주는 명령어 해석기 (번역기) ex) cmd
디렉토리 : 파일을 가지고 있거나, 또 다른 다렉토리를 가지고 있는 그룹 계층적으로 구성, 파일 시스템에 의해서 관리.
2. 리눅스 설치 기본 설정
1) 리눅스 설치
최소 설치 : 최소한의 SW 설치로 가장 기본적인 리눅스 커널만 설치
GNOME 데스크탑 : 윈도우처럼 데스크탑 환경을 제공해주는 오픈소스인GNOME 및 기타 유용한 프로그램을 같이 설치, GNOME 외에도 KDE와 같은 여러 데스크탑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틀어 X-Window라고도 한다.
2) CLI 구문
Command-Line interface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내리는 명령어 입력 환경을 의미
- 명령어의 구조
명령어 :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하기 위해 실행하는 실행 파일, 프로그램
옵션 : 명령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대시(-) 문자 뒤에 옵션을 지정 ex) netstat -r, --destination, -d
아규먼트 : 명령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파일 or 디렉토리 등 특정 대상
- 매뉴얼 페이지
man [명령어]
이동 : 방향키, Space(한페이지 이동), Enter(한 줄 이동)
검색(/ 입력 후, 찾고싶은 내용 입력 후 Enter, n 다음 검색, N 이전 검색) 종료(q)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