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프로세스 를 확인하는 ps명령어 입니다.
옵션이 굉장히 많지만 머리 아프니까
가장 많이 쓰는 -e , -f 정도도만 알아도 충분할것 같습니다.
ps -e | grep abc
이런식으로 파이프를 이용하며 abc를 포함하고 있는 작동하는 프로세스를 검색하기도 합니다.
화이팅 !
----------------------------------------------------------------------------------------------
접기
-l : 자세한 형태의 정보를 출력한다.
-u : 각 프로세서의 사용자 이름과 시작 시간을 보여준다.
-j : 작업 중심 형태로 출력한다.
-s : 시그널 중심 형태로 출력한다.
-v : 가상 메모리 중심 형태로 출력한다.
-m : 메모리 정보를 출력한다.
-a : 다른 사용자들의 프로세서도 보여준다.
-x : 로그인 상태에 있는 동안 아직 완료되지 않은 프로세서들을 보여준다. 유닉스 시 스템은 사용자가 로그아웃하고 난 후에도 임의의 프로세서가 계속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그 프로세서는 자신을 실행시킨 셸이 없이도 계속 자신의 일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일반적인 ps 명령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때 -x 옵션을 사용하면 자신의 터미널이 없는 프로세서들을 확인할 수 있다.
-S : 차일드(child) CPU 시간과 메모리 페이지 결함(fault) 정보를 추가 한다.
-c : 커널 task_structure로 부터 명령 이름을 보여준다.
-e :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
-w : 긴(wide) 형태로 출력한다. 한 행 안에 출력이 잘리지 않는다.
-h : 헤더를 출력하지 않는다.
-r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서를 보여준다.
-n : USER 와 WCHAN 을 위해 수치 출력을 지원한다.
-f : 모든 정보를 출력합니다.
접기
커맨드 내용 확인하기
접기
PID : 프로세서 ID, 각 프로세서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ID
RSS :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실제 메모리의 용량(K byte 단위)
USER : 프로세서를 실행시킨 소유자의 계정을 보여준다.
SZ : 프로세서의 자료와 스텍 크기의 (K byte 단위)
TIME : 현재까지 사용된 CPU의 시간(분,초)
TTY : 프로세서의 제어 터미널(t3=/dev/tty3)
%CPU : 마지막 분동안 프로세서가 사용한 CPU시간의 백분율
START : 프로세서가 시작된 시간
STAT : 프로세서의 상태
접기
기본적인 ps 명령어만 확인했을 경우 입니다.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중인지 보여주며
PID , TTY, TIME, CMD 4가지 항목을 보여줍니다.
ps -l 의 경우 상세내역을 보여 준다고 했습니다.
그냥 ps 를 했을경우와 똑같은 내용이지만 더 많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ps -e 의 경우 입니다.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 줍니다.
아래 엄청 많이 있소 ㅋㅋㅋ
ps -ef 입니다.
리눅스는 옵션이 조합 가능하기 때문에 두가지를 같이 쓸경우에는
모든 프로세스의 모든 정보를 출력하게 됩니다.
ps -efc 똑같이
c 를 추가하여 명령이름 까지 보여 주게 됩니다.
그럼 프로세스를 죽이는 방법은 어떻게 하는걸까요
프로세스마다 고유에 PID 값이 존재 합니다.
박스가 그려진 부분을 확인하여
kill 명령어를 사용해 주면 됩니다.
옵션은 무지 많지만.. 진짜 안씀..
-9는 강제 종료
-15는 작업 종료? 정도로 생각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명령어는 그림처럼
kill -옵션 PID 를 사용하면 됩니다.
MySQL) 테이블 not null -> null 허용가능하게 바꾸기 alter table (0) | 2021.07.14 |
---|---|
TCP/UDP 포트 목록 (0) | 2021.07.13 |
데몬(demon) 과 슈퍼데몬(xinetd) 모듈,커널 (0) | 2021.07.09 |
Centos7 jdk1.8 설치 (0) | 2021.07.08 |
inode (0) | 2021.07.07 |
댓글 영역